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 숲으로 가면 산다 > 명상은 세상의 환경과 단절한 뒤 자신의 내면으로 향하는 행위이다. 그렇다면 명상에 좋은 장소는 어디일까? 정답은 역시 숲이다. 숲은 물리적 공간적으로 외부의 모든 것을 차단시켜 더 쉽고 효과적으로 내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명상센터는 모두 숲에 위치하고 있다. 마음을 닦는 수련을 하고자 집을 떠난 사람들이 찾아가는 곳도 바로 산과 숲이다. - 신원섭의《숲으로 떠나는 건강여행》중에서 - 더보기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 현인이 이르기를, "그대 입에 문을 만들어 달아라. 그대 입술을 멋대로 열어두느니, 차라리 보물이 가득 든 그대의 금고를 활짝 열어두어라. 훗날 비난받을지도 모를 말이 그 입에서 튀어나오지 않도록 조심하라."라고 했다. -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의 《침묵의 기술》 중에서 - * 원래 나쁜 말은 가장 문 앞에 있다고 하지요. 생각없이 툭 던지는 말과 너무 많은 말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지요. 이미 내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도 없어 후회하면서 몹시 괴롭기도 합니다. 우리는 혀를 잘 다스려,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을 적절히 가릴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침묵의 기술을 배워야겠습니다. - 독자가 쓰는 아침편지에서 더보기 '배부르기 전에 숟가락을 놓아라' '배부르기 전에 숟가락을 놓아라' 그리고 어른들이 밥상머리에서 가르친 또 한 가지. "배부르기 전에 숟가락을 놓아라." 이 가르침을 충실이 따른 자식들이 몇이나 될까. 어른들은 왜 이런 말을 지치지 않고 되풀이했을까. 우리의 생활 속에 밀착된 금언에 이런 것이 있다. "과식해 탈 안나기 어렵고, 소식해 탈 나는 일 없다." - 조정래, 조재면의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중에서 - 더보기 < 고요히 걷는다 > 고요히 걷는다. 천천히 걷는다. 한 걸음 한 걸음에 들숨과 날숨을 바라본다. 천천히 걷다보면 평소에는 늘 다니던 길인데도 놓치고 있던 것들이 보인다. 빠르게 걸을 때는 느끼지 못했는데 천천히 걷다보면 걸음에도 집중을 해야 중심을 제대로 잡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엄지발가락에 쏠리는 무게, 왼쪽 오른쪽의 균형이 바른지 흔들리는지도 느낄 수 있다. - 김재덕의《나는 오늘도 수련하러 갑니다》중에서 - 더보기 < 축복을 뿌려요 > 숨을 깊이 들이마시고, 공기 중에 있는 모든 축복이 당신의 몸속으로 들어와 세포 하나하나에 퍼지기를 기원하세요. 그리고 천천히 숨을 내쉬면서, 당신 주위로 많은 기쁨과 많은 평화를 뿌려요. 이렇게 열 번을 반복합니다. 그러면 당신 자신을 치유하고, 동시에 세상을 치유하는 데 일조할 겁니다. - 파울로 코엘료의《알레프》중에서 - 더보기 < 버리고 비우면 가벼운 것을 > 무엇을 얻고자 함인가 무엇을 가지고자 함인가 저마다 무거운 삶의 짐 바위 짐 이라네. 허덕이며 비틀거리며 휘청이며 가네 부귀 공명을 누려도 그 뿐이요 권세 영광을 잡아채도 구름인 것을. 숨막히는 턱턱한 세상인가 생명을 초개같이 버릴지라도 그 생명의 가치는 알고나 가지. 귀뚜라미 울음소리 처량해도 어제 떠난 사람은 이 소리 못들을 터 살아 있음에 감사해야지. 마음을 비우면 가벼워지는 것을 욕망을 비워내면 살만한 세상인 걸 투명한 햇살 한줌 가슴에 퍼 담고 살랑이는 바람 한결 치맛자락 내어주고 잔잔한 작은 미소 얼굴에 피워 올려 오늘 하루 생명의 찬가를 부르리. 고뇌를 안주 삼아 술을 마셔보지 않고는 절망을 이불 삼아 뒤척여 보지 않고는 마지막 죽음.. 더보기 < 삶의 길에서 > 님은 어떤 사람입니까? 1. "할 수 있습니다."라는 긍정적인 사람 2. "제가 하겠습니다."라는 능동적인 사람 3. "무엇이든지 도와 드리겠다."는 적극적인 사람 4. "기꺼이 해 드리겠다."는 헌신적인 사람 5. "잘못된 것은 즉시 고치겠다."는 겸허한 사람 6. "참 좋은 말씀입니다."라는 수용적인 사람 7.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라고 협조적인 사람 8. "대단히 고맙습니다."라고 감사할 줄 아는 사람 9. "도울 일 없습니까?"라고 물을 수 있는 사람 10. "이 순간 할 일이 무엇일까?" 를 찾는 사람 - 미상. 모시다. 더보기 “여인아, 너는 병에서 풀려났다.”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에페4.32-5.8.루카13.10-17) “여인아, 너는 병에서 풀려났다.” 아브라함의 딸인 이 여자를 안식일일지라도 속박에서 풀어 주어야 하지 않느냐? ‘호박벌’이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많은 개체를 가지고 있는 벌입니다. 몸이 털로 뒤덮여서 다른 벌들보다 인상이 동글동글해서 귀엽지요. 그런데 다른 벌과 비교해서 날개가 작고 몸집이 큽니다. 이 모습을 보고서 많은 학자가 의문을 가졌습니다. 호박벌의 몸은 비행에 적합한 구조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호박벌이 나는 것은 물리 법칙에 어긋난다고 말합니다. 물리 법칙에 어긋나고, 날고 있는 것도 비효율적이지만 그래도 호박벌은 계속해서 날아다닙니다. 여기서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호박벌에게 누군가가 물리 법칙에 어.. 더보기 이전 1 ··· 818 819 820 821 822 823 824 ··· 8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