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나무처럼 살라!>
처음에는 대나무처럼 살라는
성철 대선사의 화두를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상좌스님의 자상한 설명을 듣고서야
저는 무릎을 쳤고
가슴이 시원해지는 걸 느꼈습니다.
대나무가 가늘고 길면서도
모진 바람에 꺾이지 않는 것은
속이 비었고 마디가 있기 때문입니다.
속이 빈 것은 욕심을 덜어내어
가슴을 비우라는 뜻이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좌절, 갈등,
실수, 실패, 절망, 아픔, 병고,
이별 같은 마디가
우뚝 설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욕심을 채우고 또 채우면
결국 막다른 골목에 홀로 서 있게 됩니다.
비워야 채울 수 있고
틈이 있어야 비집고 들어갈 수 있으며
빈자리가 있어야
누군가 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대나무 마디처럼
온갖 고뇌를 딛고 자라는 것이
인간의 본성인지도 모릅니다.
정신 멀쩡한 사람이
어찌 고뇌가 없을 수 있겠습니까?
대나무에 마디가 없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얼마 자라지 못해 모진 바람에
꺾일 수밖에 없습니다.
오히려 그 고뇌는
우리의 멘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고뇌가 우리를 강하게 만들어주고
미래를 개척해 주며 우리에게 살아갈 만한
가치를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병마도
즐기고 좌절과 아픔도 벗하며
슬픔과도 어우러져 살 줄 알아야 합니다.
흔히 듣는 말 중에 현대의 금언과도 같이
여겨지는 것이 있습니다.
‘암을 미워하지 말고 벗 삼아 함께 살아가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처음에 그 소리를 들었을 때는
참으로 낯설기만 했습니다.
암을 이겨내야지
어찌 벗 삼아 함께 살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뒤에야
전문가들이 조언한 참뜻을 알게 되었습니다.
암을 미워하면 원망이 생기고,
그로 인한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이
암세포를 키운다고 합니다.
육신은 마음을 따라간다는 게
정설이 되었습니다.
암을 이겨 낸 사람들은
암을 두려워하거나 미워하지 않고
벗하여 살았다는 게
과학자들의 연구결과였습니다.
- 김홍신<인생사용 설명서>에서 -
'人生 신앙의 나그네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성된 인간> (0) | 2024.03.13 |
---|---|
< 사오십 대의 삶은 아름다운 인생 > (1) | 2024.03.11 |
<삶은 지나간다> (2) | 2024.03.08 |
<최선의 일> (3) | 2024.03.07 |
왜 사느냐고 어떻게 살아가느냐고 굳이 묻지 마시게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