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낱말 사전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랑(1) 사랑(1)"어미 품에 안겨 있는 어린이인 듯내 영혼은 젖 떨어진 아기와 같나이다."(시편 131, 2)젖먹이 때의 사랑을 회복하기 위해 무진장 애를 쓰며울음으로 엄마를 협박하기도 떼를 쓰기도 하다가어쩔 수 없이 엄마 품에 안겨 있는무력한 젖 떨어진 아기.이 귀엽고 사랑스런 존재는사랑을 '하는' 존재라기보다사랑을 주어야 하는 존재이다.사랑을 줌으로 사랑을 '느끼게 해주는' 존재이다.사랑은 '하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느끼게 해주는 것',느낌은 존재에서 오는 것,사랑은 소유가 아니라 존재.사랑은 '이다'인 것.어미 품에 안긴 이 사랑스런 얼굴에서하느님의 얼굴을 본다.사랑을 고백했다가 협박했다가 노여워했다가마음을 고쳐먹는 변덕을 보였다가 하며인간에게 잘 보이려고 떼쓰는 하느님,사랑을 느끼도.. 더보기 성전(1) 성전(1)화해할 일이 있을 때, 용서가 잘 안 될 때,하느님이 계시는(현존하시는) 성전을 찾아가잘못을 비는 것은 기특한 일이다.성전은 용서가 잘 안 되는 자기의 내면으로 들어가용서하는 하느님을 만나도록 해 주고화해시켜 주는 곳이기 때문이다.하지만 예수께서는 성전에 제물을 바치러 가다가화해해야할 친구가 생각나면 먼저 그에게 가서화해하고 오라고 말씀하신다.이웃과 화해 없이는하느님과의 화해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언뜻 듣기에 이 말씀은먼저 남과 화해한 다음에야비로소 하느님과 화해할 수 있고,남과 화해를 한 사람만이성전에 들어갈 수 있는 듯한 인상을 주지만,하느님 나라가 왔다는 복음에 비추어 볼 때이 말씀은 더 심오한 뜻을 내포하고 있다.성전은 하느님이 계시는 곳이다.하느님은 내 안에도,방금 내가 다.. 더보기 <용서> 용서는 미래를 향하여 살아갈 수 있는힘과 용기를 불어 넣어주는 원천이다.과거의 일에 연연하여용서를 하니 안 하니 하는차원에 머물러서는진정한 용서가 이루어질 수 없다.용서의 가장 좋은 방법은그를 다시는 죄를 짓지 않도록과거에서 그를 해방시켜주는 것이다.- 마산교구 이제민 에드워드 신부 더보기 (112) 기도와 빈말 (112) 기도와 빈말어떻게 기도할 것인가? 예수께서는 빈말을 되풀이하지 말라고 말씀하신다. 자기 말과 자기 생각만을 되풀이해서 늘어놓지 말라는 것이다. 자기 말과 자기 생각만을 늘어놓으면서 그것을 들어달라고 하느님께 간청하는 식의 기도는 하느님을 자기 생각대로 움직이는 자동기계, 단추를 누르면 원하는 물품을 던져주는 자동 판매기, 내가 원하는 대로 나의 불행을 행복으로 바꿔주는 요술 방망이로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다. 기계식 기도에 베어있는 사람은 때때로'묵주 기도 몇 만단 바치기 운동'에서처럼 숫자에만 연연하여 기도문을 마구 외워대기도 한다. 하느님은 기도문을 마구 외우는 우리의 입술이 아니라 기도하는 우리의 마음을 보신다. 예수께서는 우리가 말하기 전에 우리의 마음을 읽고 계시는 하느님의.. 더보기 < 참기쁨 > "하느님 나라가 왔다"는 것은 복음, 즉 기쁜 소식이다. 이 복음은 우리에게 기쁨을 줄 뿐만 아니라 기쁘게 사는 법을 제시한다.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은 기쁨의 인생을 산다. 하느님 나라가 왔다는 복음을 우리의 온 몸으로 깨달을 때 우리의 온몸에서 기쁨이 용솟음칠 수밖에 없다.우리가 일상을 살면서 기쁨을 맛보지 못한다면 "모든 것 안에 하느님이 계신다. 못 난 이 몸 안에 하느님이 현존하신다. 미운 저 원수같은 놈 안에도 하느님이 현존하신다. 벗어버리고 싶은 저 십자가에 하느님이 현존하신다. 죽음 가운데도 생명의 하느님이 현존하신다"는 진리를 아직 깨닫지 못해서이다. 참 기쁨은 못난 나지만 실망하지 않고 내 마음 속 깊이까지 내려갈 수 있을 때, 저 미운 원수 놈이지만 그의 마음 속 깊은 곳에까지 들.. 더보기 <재의 수요일> 우리 인생의 목표는 부활이다. 그분처럼 부활의 삶을 사는 것이다. 우리가 그분의 부활을 기념한다면 그분처럼 부활의 삶을 살기 위해서이다. 나는 부활의 삶을 살지 못하면서 그분께서 부활하셨다고 기뻐 찬미노래 부른다면 그 노래가 내 삶에 무슨 유익을 주겠으며 그 찬미가 어찌 진정이라 하겠는가? 그분의 부활절에 우리가 표하는 기쁨이 연중행사가 아니라 진정 나의 부활 체험에서 나오는 것이길 바래본다. 그분처럼 부활의 삶을 사는 자만이 진정 부활의 기쁜 노래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부활의 노래를 부르기 위해 준비하는 사순절을 우리는 재의 수요일로 시작한다. 왜 하필이면 재와 함께 그분의 (우리의) 부활을 준비하는 것일까? 재는 물건을 태우고 남은 가루이다. 재의 수요일에 재를 내 머리에 얹는다면 .. 더보기 종교 1 종교 1 - 이제민 신부 그리스도교를 만나기까지 동양에서는 종교(Religion)라는 개념이 없었다. ‘종교’라는 개념 없이도 우리 조상들은 우리가 ‘종교적’이라 부르는 삶을 살 수 있었다.(스미스) 종교는 삶이고 삶은 언어 이상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종교라는 개념이 종교적으로 사는 데 방해물일 수 있다. ‘종교(宗敎)’라는 동양의 개념은 19세기에 서구 유럽의 ‘렐리지오’(Religio)라는 개념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신조어(新造語)로서 ‘최고의 가르침’, ‘거룩한 가르침’을 의미한다. 교(敎)로 번역하기도 하였는데, 이 경우 렐리지오는 어떤 틀을 갖춘 제도로서의 종교라기보다 제도화할 수 없는 신앙을 말한다. 동양에서 렐리지오(종교)는 ‘최고의 가르침’이라는 의미에서 붓다의 가르침, 공.. 더보기 <멈추어 보라> 멈추는 자만이 주변에 자비로울 수 있다. 멈추는 자만이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사람을 하느님처럼 대할 수 있다. 멈추는 자의 눈은 자비롭다. 멈추어라. 세상이 아름다울 것이다. 멈추어 보라. 세상이 신비스러울 것이다. - 이제민 신부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