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침공, “세대를 이어 남게 될 트라우마 만들어”
<팍스 크리스티, 우크라이나 전쟁 1년 성명서 내>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공습한 지 1년이 됐다. 그리스도교 평화운동 단체인 팍스 크리스티 인터내셔널(Pax Christi International. 이하 PCI)이 전쟁으로 인한 죽음과 부상, 피난 생활, 트라우마 그리고 생태계 피해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국제 사회의 대응, 안보와 평화를 위한 비폭력 전략 개발 등을 강조하는 성명을 냈다.
지난 8월 와무유 와치라 수녀(PCI 공동대표)가 한국을 방문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국제 정세와 그리스도교의 역할에 관해 전쟁과 폭력은 대화와 외교로 해결해야 한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PCI는 이 전쟁으로 “적어도 400명이 넘는 아동을 포함 민간인 7200여 명과 군인 수십만 명이 사망했으며, 세대를 이어 남을 트라우마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전쟁 발발한 이후 3분의 1이 넘는 우크라이나 사람이 난민이 됐다. 2023년 2월 기준 피난민 약 800만 명 이상이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었고, 이 가운데 90퍼센트는 아동과 여성이다. 우크라이나 국내에도 실향민 약 500만 명이 있다. 환경 피해 또한 심각하다.
영국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환경부는 이번 전쟁으로 우크라이나 환경 피해액 규모를 514억 달러(약 67조 원)로 추산한다. 우크라이나는 1년간 폭발물 32만여 개의 충격을 견뎌야 했으며, 자연 보전지 106곳, 습지 16곳 등이 파괴 위험 상태에 있고, 동물 600종과 식물 880종이 멸종 위기에 처했다.
PCI는 “이 전쟁이 잔혹한 러시아의 침략을 적절히 막을 수단이나 전쟁의 근본 원인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국제적인 권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 질서 회복과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을 위해 즉각적으로 외교적인 조처를 해 달라”고 국제사회에 요청하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상호 합의할 수 있는 중립적 입장을 지닌 중재자와 협상을 진행해 달라”고 강조했다.
![](https://blog.kakaocdn.net/dn/sN5vR/btr0JNFXyT3/QF4pGaCvLCiLVTM3EptCSK/img.jpg)
위쪽은 파란색, 아래쪽은 노란색인 우크라이나 국기 왼쪽 중앙선 위에 평화의 상징인 하얀 비둘기가 올리브나무 잎을 물고 날개를 펼쳐 날고 있는 옆모습을 넣은 이미지가 있다. (이미지 출처 = Pixabay)
또 이들은 “안보와 정의로운 평화를 위한 비폭력 전략을 개발하는 데 국제 사회가 투자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어 “인권과 평화를 지키기 위한 운동 단체인 PCI는 분쟁 중인 두 나라 군인과 민간인의 양심적 병역 거부 권리를 옹호한다”며, “러시아의 언론과 재야 정치권, 시민 사회가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사회가 전쟁에 맞서 벌이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비폭력 저항을 높이 평가”하고, “체포와 투옥의 위험에도 전쟁을 반대하는 모든 러시아인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PCI는 “우크라이나에서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위협은 핵폭탄 하나만으로도 전례 없는 인도주의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전 세계에 상기시켰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국가가 핵무기금지조약(TPNW)에 참여함으로써 핵무기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핵무기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들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폭력이 세계 곳곳에 만연해 있으며, 긴급하게 평화와 비폭력에 대한 새로운 논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을 고통스럽게 깨닫고 있다며, 전 세계의 팍스 크리스티 회원들과 선의를 지닌 모든 사람이 함께 모여 인간 안보, 창조물에 대한 보살핌, 인간 존엄과 지속 가능한 평화 사이에 관계에 관해 대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23일 유엔 총회에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군대를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됐다. 미국 뉴욕 본부에서 열린 긴급 특별총회에서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원칙에 관한 결의안’이 찬성 141표, 반대 7표, 기권 32표로 통과됐다. 유엔 총회 결의안은 구속력은 없지만, 국제 사회의 여론을 보여 주는 의미가 있다. 한국 정부도 결의안 공동제안국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총회에서도 찬성표를 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이 시대 길동무 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오와 사랑의 힘, 어느 것이 강한가 (0) | 2023.03.03 |
---|---|
< 오래 살려는 인간의 소망 10가지 자연 장수물 숭배 > (0) | 2023.03.01 |
제발 쌀농사 말고 다른 농사 지어주세요···정부·지자체 ‘안간힘’ (1) | 2023.02.21 |
윤단폭격과 V2로 온 천지가 난리다 (0) | 2023.02.15 |
윤석열 대통령의 분노와 공포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