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信仰人의 삶

길 자체보다 그 안의 ‘이야기’로 감동 전해야

길 자체보다 그 안의 ‘이야기’로 감동 전해야

[기획 보도] ‘천주교 순례길 열풍’ 교회의 역할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천주교 성지를 잇는 순례길을 조성하는 가운데 교회는 순례길에 스토리를 입히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5월 10일 순례자들이 은이성지와 미리내성지를 잇는 ‘청년 김대건의 길’을 걷는 모습. 사진 민경화 기자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국적으로 등산과 트레킹 열풍이 불고 있다. 제주 올레길과 각종 둘레길은 중장년층뿐 아니라 젊은이들도 즐겨 찾는 명소가 됐다. 인기를 반영하듯 한국관광공사의 걷기·자전거 여행 정보 사이트 ‘두루누비’에 등록된 트레킹 코스는 2022년 기준 2188개에 이른다.

걷기 열풍은 이후 ‘치유’와 ‘힐링’이라는 키워드가 더해져 종교 순례지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됐다. 열풍의 중심에는 산티아고 순례길이 있었고, 이는 국내에 있는 천주교 순례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다. 2000년대 초반부터 지자체가 앞장서 조성한 순례길은 5곳, 현재 계획 중인 길은 2곳이다.

천주교 순례길 조성을 담당한 지자체 관계자들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천주교 문화가 한국 전통문화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박해 속에서도 신앙을 포기하지 않고 순교를 선택했던 신자들의 정신이 이 시대를 사는 이들에게 울림을 줄 수 있는 요소라는 데도 동의했다.

지자체와 교회가 손을 잡고 가장 먼저 조성한 순례길은 충남 당진시 버그내 순례길이다. 2010년 조성된 순례길은 솔뫼성지에서 시작해 합덕성당, 원시장·원시보 우물터, 무명 순교자의 묘, 신리성지까지 13.3km에 이른다.

이후 제주교구와 제주도가 손을 잡고 천주교 순례길(2012)을 조성했고, 충남 홍성과 예산, 서산, 당진 등 4개 시군이 조성한 내포문화숲길(2014)은 2021년 국가숲길로 지정됐다. 내포문화숲길에는 천주교 성지를 잇는 내포천주교순례길이 포함돼 있다.

국내에서 가장 긴 천주교 순례길은 원주시가 조성했다. 2022년 개통한 원주 천주교 성지순례길은 풍수원성당부터 배론성지까지 총 250km가량 이어져 있다. 김대건 신부의 자취를 따라가며 걸을 수 있는 청년 김대건 길도 용인시에서 조성했다. 은이성지에서 신덕·망덕·애덕고개를 지나 미리내성지까지 10.3km를 걸으며 순교 정신을 체험할 수 있다.

지자체와 교회가 손 잡고 가장 먼저 조성한 충남 당진 ‘버그내 순례길.’ 가톨릭신문 자료사진

한국 천주교 역사는 순례와 뗄 수 없다. 박해를 피해 산속 깊숙한 곳에 자리를 잡았던 신자들과 만나기 위해서는 걷고 또 걸어야 했기 때문이다. 숨어서 이동했던 길이기에 천주교 순례길에서는 시원하게 탁 트인 풍경을 찾기 어렵다. 천주교에 대한 이해가 없는 순례객을 사로잡기 위해서 길의 가치와 스토리를 알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청년 김대건 길 문화관광해설사 옥영재(마티아)씨는 “순례길에 참여한 비신자의 경우 대부분 김대건 신부님이 최초의 한국인 신부라는 정보만 알고 순례한다”며 “용인시가 순례길의 인프라를 조성하는 역할을 했다면 교회는 김대건 신부님의 삶과 신앙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할 수 있도록 성지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버그내 순례길의 종착지인 신리성지는 미사 시간 외에 방문객 중 70% 이상이 비신자다. 천주교의 정신과 이야기를 이 시대 사람들의 시선에 맞게 해석해 놓은 공간들이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원동력이 됐다.

신리성지 전담 김동겸(베드로) 신부는 “성지에 비신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고자 미술관과 카페, 공원의 조경 등 보고 즐길 요소들을 만들고자 노력했다”며 “천주교의 유산이 담겨있는 성지도 결국은 이 시대 사람과 만나야 하기에 세상이 무엇을 원하는지 귀를 기울이고 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