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풍진 세상

<골목길, 친구들 그리고 세상>

<골목길, 친구들 그리고 세상>

초등학교 때 우리 집은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에 있는 작은 한옥이었다.

골목 안에는 고만고만한 한옥 네 채가

서로 마주 보고 있었다.

그때만 해도 한 집에 아이가 너덧은 됐으므로

골목길 안에만도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가 줄잡아 10명이 넘었다.

학교가 파할 때쯤 되면 골목은 시끌벅적,

아이들의 놀이터가 됐다.

 

어머니는 내가 집에서 책만 읽는 걸 싫어하셨다.

방과 후 골목길에 아이들이 모일 때쯤이면

어머니는 대문 앞 계단에 작은 방석을 깔고

나를 거기에 앉혀 놓으셨다.

아이들이 노는 걸 구경이라도 하라는 뜻이었다.

딱히 놀이기구가 없던 그때,

친구들은 대부분 술래잡기 공기놀이 말타기

고무줄놀이를 하고 놀았지만

나는 공기놀이 외에는 어떤 놀이에도 참여할 수 없었다.

하지만 친구들은 나를 위해 꼭 뭔가 역할을 만들어 줬다.

고무줄놀이나 달리기를 하면 내게 심판을 시키고

신발주머니와 책가방을 맡겼다.

그뿐인가.

술래잡기를 할 때는 한곳에 앉아 있어야 하는

내가 답답해할까 봐

어디에 숨을지 미리 말해 주고 숨는 친구도 있었다.

 

우리 집은 골목에서 중앙이 아니라 모퉁이 쪽이었는데

내가 앉아 있는 계단 앞이 친구들의 놀이 무대였다.

놀이에 참여하지 못해도 난 전혀 소외감이나

박탈감을 느끼지 않았다.

아니, 지금 생각하면 아마도 내가 소외감을 느낄까 봐

친구들이 했던 배려였다.

 

골목길에서의 일이다.

초등학교 1학년 때였던 것 같다.

하루는 우리 반이 좀 일찍 끝나서 혼자 집 앞에 앉아 있었다.

마침 골목길을 지나던 깨엿장수가 있었다.

아저씨는 가위만 쩔렁이며 내 앞을 지나더니

다시 돌아와 깨엿 두 개를 내밀었다.

그 순간 아저씨와 내 눈이 마주쳤다.

아저씨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주 잠깐 미소를

지어 보이며 말했다.

“괜찮아.”

 

무엇이 괜찮다는 건지 모른다.

돈 없이 깨엿을 공짜로 받아도 괜찮다는 뜻인지,

아니면 목발을 짚고 살아도 괜찮다는 말인지….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내가 그날 마음을 정했다는 것이다.

이 세상은 그런대로 살 만한 곳이라고,

좋은 사람이 있고 선의와 사랑이 있고,

‘괜찮아’라는 말처럼

용서와 너그러움이 있는 곳이라고 믿기 시작했다.

 

어느 방송 채널에 오래전 학교 친구를 찾는

프로그램이 있다.

한번은 가수 김현철이 나와서 초등학교 때

친구를 찾아 함께 축구하던 이야기를 했다.

한 친구가 말했다.

당시 자기 허리가 36인치일 정도로 뚱뚱해서 잘 뛰지 못한다고

다른 친구들이 축구팀에 넣어 줄 수 없다고 했다.

그때 김현철이 나서서 말했다.

“그럼 얜 골키퍼를 하면 함께 놀 수 있잖아!”

그래서 친구는 골키퍼를 맡아 함께 축구를 했다.

그는 몇십 년이 지난 후에도

김현철의 따뜻한 말과 마음을 그대로 기억하고 있었다.

 

시각장애인이면서 재벌 사업가로 알려진

미국의 톰 설리번은 자기의 인생을 바꾼 말은 딱 세 단어,

“Want to play(함께 놀래)?”라고 했다.

어렸을 때 실명하고 절망과 좌절감에 빠져 고립된 생활을 할 때

옆집에 새로 이사 온 아이가 그렇게 말했다고 한다.

그 말이야말로 자기가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했다.

 

어린아이의 마음은 스펀지같이 무엇이든 흡수한다.

그리고 어느 순간에 마음을 정해 버린다.

기준은 ‘함께’이다.

세상이 친구가 되어 ‘함께’하리라는 약속을 볼 때

세상은 힘들지만 그런대로 살 만한 곳이라든지,

아니면 세상은 너무 무서운 곳이라든지 결정해 버린다.

새삼 생각해 보면 내가 이 세상에 정붙이게 만들어 준 것은

바로 옛날 나와 함께하기를 거절하지 않은 골목길 친구들이다.

 

조승희의 죽음에 같은 학교의 한 여학생이 남긴 노트에는

“우리의 이기심이 널 분노하게 했을지 모르겠다.

함께 친구가 되어 주지 못해서 미안해”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후회는 아무리 빨리 해도 이미 늦다.

- 장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