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에서 왜 절해유?

<마음을 쉬어 보세요.>​

<마음을 쉬어 보세요.>

어느 날.

한 보살이 찾아와 묻기를

저는 그동안 세상을 살아가면서

별로 죄지은 일도 없이

열심히 살아온다고 왔는데

일 년 열두 달 365일.

단 하루도 빼지 않고

편한 날이 없어

자고 일어나면 근심 걱정과

속상한 일 뿐이오니

대체 어이된 까닭입니까?

하였습니다.

그래서 답하기를

사람마다 근심 걱정과

속상한 일들이 그치지 않는 것은

그 첫째가

욕심 때문이니라.

더 많은 재산, 더 커다란 집,

더 넓은 방, 더 높은 벼슬,

더 맛있는 음식,

더 좋은 의복 등을

끝없이 욕심내어 놨으니

그 욕심이

채워지지 않으면

속이 상하고

근심 걱정이

그치지 아니할 것은

자명한 일이 아니겠는가?

또 그 두 번째 까닭은

성냄에 있으니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다 하여

화를 내고 성질을 내고

자기 말을 듣지 않는다 하여

미워하고 원한을 품으니

그 근심 걱정에 이 어찌

하루인들 편하겠는가?

또 그 세 번째 까닭은

어리석음이니

사람이 겨우 백년도

제대로 못살거늘

천년, 만년 살 것으로

착각하여

끝없는 욕심과 성냄으로

제 명을 재촉하고 있으니

이 어찌 심신에 편함이 있겠는가?

이 모든 것을 깨달아

오늘부터

욕심 한 가지를 줄이면

근심 걱정은

반으로 줄어들 것이요.

오늘부터

성냄 한 가지를 줄이면

나머지 근심 걱정이

또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요.

오늘부터 이러한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지혜를 얻으면

나머지 근심걱정 또한

씻은 듯이 사라질 것이니라.

그리되면

그 무엇이 근심되며

그 무엇이 속상하겠는가?

하루 속히

이러한 이치를 깨달아

번뇌를 지우고

선업 공덕을 쌓아가야 하리라.

세상의 이치가

죄라하는 것은

지은 대로 가는 것이요

공이라 하는 것은

닦은 대로 간다 하였거늘

어차피 제 손으로 지어서

제 손으로 받는다면

기왕이면 죄를 지어

업보를 받느니

공을 닦아 복을 받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그러기 위해선 공 닦음에

부지런해야 하느니

예로부터 부지런한 바보는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지만

영리한 게으름뱅이는

거렁뱅이 신세를

면치 못한다 하였느니라.

살아 있을 때,

선행하기를 멈추지 말라.

좋은 일, 착한 일을 쌓은 공덕은

다 네 것이니라.

- 작가 미상

'절에서 왜 절해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선시禪詩 모음 ◆  (4) 2024.11.21
<동자승의 법칙>  (0) 2024.11.20
< 삶 >  (0) 2024.11.18
이 보게나 여보시게 이 글 좀 보고 가소  (0) 2024.11.17
행자의 노후, 보림장은 어디인가?  (2) 202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