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쉬며 목 축일 샘-法頂

< 북인도 라다크 지방 노인이 들려주는 삶의 메시지 >

< 북인도 라다크 지방 노인이 들려주는 삶의 메시지 >

동서양 가릴 것 없이 현대의 문명과 문화는 본질적으로 물질적이고 감각적입니다. 그리고 매우 표피적입니다. 그래서 내가 얼마나 벌어들이는가,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는가, 얼마나 예쁘고 잘났는가 하는 것이 성공의 척도처럼 인식되고 있습니다. 과연 그러한가? 물건과 재산, 잘생긴 얼굴만으로 사람은 행복할 수 있을까?

북인도 라다크 지방은 인도에서도 인구가 가장 적은 오지입니다. 해발 3천 미터가 넘는 고지대입니다. 티베트에 가깝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티베트 문화를 수용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1970년대 말부터 서구인들이 라다크로 몰려들었습니다. 라다크 사람들을 통해서 인류의 미래를 위한 메시지를 찾기 위해서입니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가 쓴 <오래된 미래>라는 책도 나왔습니다.

서방 기자를 만난 자리에서 한 라다크 노인이 말합니다. 물론 가난하게 사는 노인입니다.

"나는 바깥세상에 사는 사람들이 식탁과 의자와 카펫을 갖고 편안하게 산다고 들었다. 쌀과 설탕 등, 행복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갖고 있다고 들었다. 나는 보리떡과 죽밖에는 먹을 것이 없다. 하지만 나는 행복하다. 나는 이가 다 빠져서 많이 먹을 수도 없다. 당신들은 좋은 옷을 입었지만 보다시피 내 옷은 다 해진 누더기다. 그런데도 바깥세상에는 많은 불행이 있다고 들었다."

가자가 노인에게 현대인들이 불행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노인은 이렇게 답합니다.

"아마도 당신들이 가지고 있는 좋은 옷과 가구와 재산들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거기에 마음을 빼앗겨 기도하고 배우면서 차분히 자신을 되돌아볼 시간이 없을 것이오."

노인은 불행의 원인을 이렇게 진단합니다. 저도 이 글을 읽고 움찔했습니다.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메시지입니다. 물질에 혼을 다 빼앗겼다는 것입니다. 일상적인 자질구레한 도구들에 혼을 다 빼앗겼기 때문에 조용히 기도하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노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들이 불행한 것은 가진 재산이 당신들에게 주는 것보다 빼앗는 것이 더 많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소."

이것을 한 노인의 이야기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반문해야 합니다. 나는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데, 과연 내가 행복한가? 인간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나 많은 재산의 소유에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인간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내가 나 자신의 영혼과 얼마나 일치되어 있는가, 얼마큼 하나를 이루고 있는가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 내가 하고 싶은 일에 핵심적인 힘을 부여하는 것은 나 자신의 사람됨입니다.

일찍이 이 땅에서 살다가 지금은 거의 사라져 가고 있는 아메리카 인디언의 문화는, 그 본질이 지극히 영적이고 정신적입니다. 현대인들의 문화와 문명이 물질적이고 감각적인 것과는 재조적으로, 인디언들의 정신세계는 본질적으로 영적이었습니다. 내가 얼마나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있는가가 아니라, 내가 이웃들에게 얼마나 많은 봉사를 했는가, 또 얼마나 나누어 주었는가가 인디언들의 성공 척도입니다.

ㅡ인디언들에게는 열두 가지 계율이 있는데, 그중 아홉 번째 계율에 이런 표현이 나옵니다.

"큰 부를 얻으려고 탐욕을 부리지 말라. 부족 중에 궁핍한 사람이 있는데 어떤 사람이 지나친 부를 소유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고 불명예스러운 일이다."

인디언들은 많은 재산이 쌓이면 어떤 행사를 통하여 다 나누어 주는 부족 간의 질서가 있습니다. 또 마지막 열두 번째 계율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그대의 인생을 사랑하고 완성하라. 그대 삶의 모든 것을 아름답게 하라. 지금 살아 있다는 것에 감사하라. 그리고 그대의 이웃에게 봉사하기를 힘쓰라."

이것이 이 사람들의 계율입니다. 생활 규범입니다. 이런 사람들이 어떻게 미개인이고 야만인일 수 있습니까? 백인들의 우월의식, 또 미 대륙에 침입한 선교사들의 독선에 의해서 비롯된 오해입니다. 인디언들 자신은 더없이 선량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가장 건강하고 조화로운 삶을 살았던 부족입니다.

- 법정 스님 법문집 <한 사람은 모두를, 모두는 한 사람을>에서 -

'쉬며 목 축일 샘-法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양생법(養生法) >  (0) 2023.03.04
< 적은 것으로 만족하라 >  (0) 2023.03.03
< 인간다운 삶을 이루려면 >  (0) 2023.02.27
< 인간과 자연 >  (1) 2023.02.26
< 토끼풀을 뽑아 든 아이 >  (0) 202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