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을 맑힐 물 썸네일형 리스트형 들숨 없는 날숨은 없다 들숨 없는 날숨은 없다 픽사베이-수도승(修道僧) 셋이 그동안 공부한 것을 테스트 받는다. 주먹만 한 돌을 망치로 내려쳐서 그것이 어떻게 되는지를 보고 공부의 진도가 어디까지 왔는지 알아보는 거다. 첫째 비구가 망치로 힘껏 내려치자 부서진 작고 큰 돌조각들이 사방으로 흩어진다. 둘째 비구가 내려치자 사과를 칼로 쪼갠 것처럼 돌이 두 조각으로 갈라진다. 셋째 비구는 망치로 돌을 내려치지 않고 살짝 건드린다. 그러자 돌이 한 바퀴 돌면서 같은 모양의 돌 세 개로 나뉘어 저마다 한 바퀴씩 돌고 멈춘다. …첫째 비구는 아직 갈 길이 멀고 둘째 비구는 반쯤 왔고 셋째 비구는 거의 다 왔구나, 이런 생각을 하다가 꿈에서 나온다. 수도(修道)란 무엇인가? 인위의 힘(force)을 자연의 힘(power)보다 크게 .. 더보기 <낮추면 높아진다> 조화로운 인간 관계란 주는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받고자 하는 마음이 앞서면 상대는 문을 열지 않는다문을 열기는 커녕 경계하는 마음이 된다주는 마음은 열린 마음이다내 것을 고집하지 않고 남의 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이다그의 말을 들어주고 그의 마음을 받아 주는 것그것이 열린 마음이다무엇인가를 애써 주려고 하지 않아도열린마음이면 그것으로 족하다그냥 열린 마음으로 있어라가만히 있어도 열린 마음이면 그건 주는 마음이다나를 낮추는 것은 열린 마음의 시작이다나를 낮추고 또 낮춰 저 평지와 같은 마음이 되면거기엔 더 이상 울타리가 없다벽도 없고 담장도 없다넓디 넓은 들판엔 수많은 꽃들이 다투어 피고뭇 짐승들이 와서 머물고 머물다가는 떠난다그러나 거기엔 아무런 시비도 없다갈등도 없다장애도 없다거칠 것이 없기 때문.. 더보기 「사랑을 무게로 안 느끼게」, 다시 길어올린 박완서 작가의 따순 밥상 같은 이야기 「사랑을 무게로 안 느끼게」, 다시 길어올린 박완서 작가의 따순 밥상 같은 이야기박완서 지음 / 396쪽 / 1만8000원 / 세계사 에세이스트로 이름 알린 1977년 첫 산문집 개정판 딸 호원숙 작가 제공 육필원고·애장품 소개 글도 수록‘한국 문학의 거목’ 고(故) 박완서(엘리사벳) 작가의 진솔하고 변함없이 마음을 덥혀주는 문장들이 다시금 우리 곁에 왔다.「사랑을 무게로 안 느끼게」는 1977년 출간 이후 한 번도 절판되지 않고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작가의 첫 산문집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를 전면 개정한 것이다. 에세이스트로 이름을 알린 대표작이자 박 작가 에세이의 정수라 할 수 있다. 출판사는 작가의 소중한 유산을 독자와 나누기 위해 제목과 장정을 바꿔 새롭게 소개했다.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한 .. 더보기 <내가 만난 하느님> 하루에도 수십 번 우리는 예수를 만납니다. 하느님도 만납니다. 예수님! 하고 부르면 빙그레 웃으시고 하느님! 하고 부르면 또 빙그레 웃으시고 손도 잡고 몸도 나누고 때로는 꼭 껴안아 주시기도 합니다. 보십시오. 우리가 만난 사람, 싸우고, 미워하고, 욕한 사람, 모두가 예수입니다. 모두가 하느님입니다. - 김요한의 영혼의 샘터에서 - 더보기 <하느님을 삶의 근거와 발판으로 믿으면..> 우리가 하느님을 삶의 근거와 발판으로 믿으면 믿을수록,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가하는 것으로부터 점점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사물을 점점 더 자유롭게 대할 수 있다. 즉 우리가 모든 것을 가져야 하고 성취해야 한다는 강요로부터 점점 더 자유로워지게 된다. 하느님을 믿는 신앙은 특히 마지막 죽음으로부터의 자유로 이끄는데, 이 자유로 다른 모든 자유를 측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죽음도 우리에게 상처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하느님을 믿으면 죽음은 하느님 안에서 완성된 자유를 체험하는 참된 삶을 얻기 위해 우리가 통과해야 할 문이 된다. -중에서 하느님은 내 존재의 근원이시기에 우리의 삶의 근거와 발판으로 믿으면 믿을수록 사람들과 모든 사건들, 모든 사물들을 자유롭게.. 더보기 하느님께 바치는 가장 아름다운 노래, 시편!(9월 4일) 하느님께 바치는 가장 아름다운 노래, 시편! 저의 반석, 저의 구원자이신 주님, 제 입으로 드리는 말씀, 제 마음속 생각 당신 마음에 들게 하소서. - 시편 19.15 말은 씨앗의 껍질이고 생각은 그 알맹이입니다. 우리에게는 둘 다 필요하지요. 껍질이 튼튼해 보이는 씨앗도 알맹이가 썩어 있으면 아무런 쓸모가 없습니다. 우리가 하는 말도 그러합니다. 하느님은 우리를 속속들이 다 아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분과 이웃에 대한 감사와 사랑으로 우리의 마음을 가득 채우고, 사람들의 힘을 북돋아 주는 친절한 말을 우리 입에 담아 주시도록 그분께 간청해야 합니다. 주님, 저의 말과 생각을 주님께 합당한 것으로 바꾸어 주소서. -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에서 더보기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 9월3일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 9월3일 높은 곳에서 손을 뻗쳐 나를 붙드시고, 깊은 물에서 그분은 나를 건져 주셨네. - 시편 18.17 우리는 수영하러 갈 때 결코 인명 구조원이 필요한 상황이 오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혹시라도 문제가 생겼을 때, 구조원이 우리를 구하러 달려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하느님도 우리를 구하러 그렇게 달려오십니다. 우리는 때때로 삶의 곤경이라는 물에 빠집니다. 베드로 사도가 예수님께 구해 달라고 소리를 질렀듯이, 우리가 주님께 구원을 부르짖으면, 주님이 우리를 붙드시어 살려 주실 것입니다. 주님, 온갖 곤경이 저를 집어삼키려 하오이, 저를 구해 주소서. -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에서 더보기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 9월2일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 9월2일 그들은 말하나이다. "주님은 보지 않는다. 야곱의 하느님은 모른다." 귀를 심으신 분이 듣지 못하신단 말이냐? 눈을 빚으신 분이 보지 못하신단 말이냐? - 시편 94.7.9. 우리는 누군가 보고 있다고 의식할 때 더 잘 행동하려고 합니다. 사실 하느님은 언제나 우리를 지켜보고 계시는데 말이지요. 그러나 그분은 우리의 잘못을 잡아내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지켜보십니다. 하느님의 시선 아래서, 우리는 언제나 바르고 의로운 것을 말하고 행동하며, 진실하게 살면서 하느님을 기쁘게 해 드려야 합니다. 주 하느님, 사랑하는 주님의 시선 아래서, 식별하는 주님의 눈을 통하여 제 자신을 보게 하소서. - 매일 믿음이 깊어지는 시편 묵상에서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