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生 신앙의 나그네 길 썸네일형 리스트형 < 산다는 건 > 어제처럼 지나가는 하루 평범하지만 특별하길 원하는 이기심 항상 나를 쫓는 건 바로 내 등 뒤의 기대치들 돈으로 얼룩진 세상은 나를 무서운 사람으로 개조시킨다. 내가 가야할 길은 아름답지만 내가 가고 있는 길은 너무도 답답한 동굴 같다. 무언가 항상 채워야 할 빈자리가 있는 것 같아서 돌아보려고 하면 어느새 나는 같은 자리로 던져지고 만다. 무엇을 위해 달려가고 숨을 쉬는가? 남들이 얘기하는 좋은 사람... 이런 거 모두 사회의 방식대로 만들어진 허상아닌가? 어느 조용한 시골에서 아침엔 새벽안개 소리를 마시며 점심엔 풍부한 은빛 햇살을 마시며 저녁엔 향긋한 솔바람을 마시며 늦은 밤엔 포근한 달빛을 마시며 이렇게 지치지 않게 살고 싶다. 어차피 유한한 인생이 아닌가? .. 더보기 < 인생은 나그네 > 반암산골에 들어와 숲과 가축, 아이들과 함께 열심히 살았다. 그동안 살았던 삶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삶이었다. 전에는 빠르게 움직이며 조직사회에 충성하였다면 산골의 삶은 천천히 느리게 그리고 자본주의와 현대문명과는 거리를 두고 사는 삶이었다. 머리도 자르지 않고 수염도 깎지 않아 보기도 했다. 과거와의 삶과는 완전히 다른 생활이었다. 스스로 안식년이라고 생각하고 두달 정도 안식년 여행을 갖고 싶다. 내년이 칠십이니 60대 마지막 해에 나에게 휴식을 주고 싶다. 해외로 나갈까 아니면 국내의 이곳 저곳 돌어다녀볼까 생각해 보지만 가닥이 잡히지 않는다. 해외여행은 백신을 맞았느니 코로나 검사니 뭐니 따지니 자유롭지가 않고 성가시다. 그러면 국내로 좁혀 생각하자니.. 더보기 < 삶이 하나의 놀이라면 > 삶이 하나의 놀이라면 이것이 그 놀이의 규칙이다. 당신에게는 육체가 주어질 것이다. 좋든 싫든 당신은 그 육체를 이번 생 동안 갖고 다닐 것이다. 당신은 삶이라는 학교에 등록할 것이다. 수업 시간이 하루 스물네 시간인 학교에. 당신은 그 수업을 좋아할 수도 있고 쓸모없거나 어리석은 것이라 여길 수도 있다. 하지만 충분히 배우지 못하면 같은 수업이 반복될 것이다. 그런 후에 다음 과정으로 나아갈 것이다. 당신이 살아 있는 한 수업은 계속되리라. 당신은 경험을 통해 배우리라. 실패는 없다. 오직 배움만이 있을 뿐. 실패한 경험은 성공한 경험만큼 똑같이 중요한 과정이므로. '이곳'보다 더 나은 '그곳'은 없다. 다른 사람들은 모두 당신을 비추는 거울이다. 어떤 삶.. 더보기 제4회 "내 인생(人生) 이야기"를 신학으로 풀어볼 수 있나요? 제4회 "내 인생(人生) 이야기"를 신학으로 풀어볼 수 있나요? 1. 인생(人生)이란 무엇인가? - 인간에 대한 자기 이해 1) 인생은 나그네길? 2) "인생이 무엇인지" 묻는 나는 누구인가? 왜 나는 그런 질문을 던지는가? ● 나는 나의 인생의 의미에 대하여 언제 묻는가? ● (주제) 인간이란 - "역사 속에서 생생하게 살아가면서, 자신의 삶의 의미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나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가족, 이웃, 동료들을 통하여 삶을 공감하고, 인격을 성숙시키며 자기를 발견하는 존재" 가) 역사적 실존(實存)으로서의 인간 :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 살아가는 현(現)존재로서의 인간 ① 인간은 역사적 존재 ② 인간은 실존(實存)적 존재 ③ 실존적 현존재인 인간의 가장 중요한 실존적 특징은불안의.. 더보기 < 인생, 하느님의 선물 > 선물은 애정을 담는 그릇입니다. 애정은 선물을 받은 후 자기의 소유로 생각하는 순간 사라집니다. 신앙인은 하느님으로부터 끊임없는 선물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자기에게 오는 모든 것 속에서 하느님의 사랑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날마다 겪는 경험들 속에서 하느님의 사랑이 자신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개입하는 것을 의식합니다. "복되어라, 당신께 뽑혀 한 식구 된 사람, 당신 궁정에서 살게 되었으니, 당신의 집, 당신의 거룩한 성전에서 우리도 마음껏 福을 누리고 싶사옵니다. 정의를 떨치시어 놀라운 일로 우리 소원 들어 주셨사오니, 당신은 우리 구원의 하느님이시며 땅 끝까지, 먼 바다 끝까지 사람들의 바람입니다." (시편 65, 4-5) - 김정수 .. 더보기 < 인생살이 > 세상살이 지나보면 흐르는 물 같고 스쳐가는 바람 같은 것 일 만들어 생 마음 일으키지 말고 생 마음 일으켜 새 일을 만들지 말라. 사람들은 요란하고 화려함을 찾지만 삶이란 살다보면 번잡한 것보다는 간결함이 편한 것이고 화려함보다는 소박함이 편안한 것이다. 구름이 바람 따라 흘러가듯 세상사 인연 따라 흘러가는 것 아닌 것을 억지 부려 행하려 하지 말고 그릇된 것을 억지로 옳다고 우기지 말라. 버들은 푸르고 꽃은 붉은 데 푸르고 붉은 것이 어찌 내 마음에 달렸으랴. 세상사람 모두가 하는 짓인데 내 못할 바가 어디 있느냐고 내 고집 앞세우며, 억지 부려 살지마라 아래로 흐르는 물이 자연스럽듯 인생살이도 그러해야 하느니라. 새 인연 짓기 좋아하여 몸과 마음을 가벼이 하지 말.. 더보기 < 나그네 인생 > 인생이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삶을 말한다. 자기 고장을 떠나 다른 곳에 임시로 머무르거나 여행 중에 있는 사람을 우리는 나그네라고 한다. 두 손 꼭 쥐고 울면서 세상에 태어나 주위 사람들의 축하와 환영을 받으며 출발하는 인생길이다. 그러나 어느 누구에나 인생의 종말인 죽음을 면할 수 없는 게 인간의 숙명이기도 하다. 두 손 펴고 눈감으며 빈손으로 조용히 떠나가지만, 주변 사람들은 슬퍼하며 애도(哀悼)를 한다.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는 것처럼 인생길에도 시작과 끝이 있다. 인생의 시작과 끝은 탄생과 죽음이다.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래 철학자를 비롯해 많은 학자와 성현들이 ‘세상에 잠깐 왔다가 가는 나그네 인생’을 연구해 왔다. 성경에서도 인생을 ‘나그네와.. 더보기 나그네 人生(톨스토이 참회록) 나그네 人生(톨스토이 참회록) 인생이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때 까지의 삶* 을 말하는데, 내세(來世)를 믿는 교계(敎界)에서는 "인생은 잠시(暫時) 살다가 가는 나그네" 라고 말한다. 나이가 들수록 인생의 종점(終點)이 가까워진 노년기(老年期)... 사람들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앞으로 어떻게 변(變)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疑問)을 갖게 된다. 톨스토이의 *참회록(懺悔錄)* 에는 아주 유명(有名)한 다음과 같은 우화 (寓話) 가 있다. 👨🏫 어떤 나그네가 광야(廣野)를 지나다가 사자(獅子)가 덤벼 들기에, 이것을 피하려고 물 없는 우물 속으로 도망쳐 들어갔다. 그런데 그 우물 속에는 큰 뱀이 큰 입을 벌리고 먹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우.. 더보기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