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가장 용맹스럽고 멀리 복음을 전한 토마스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가장 용맹스럽고 멀리 복음을 전한 토마스​카라바조의 인류 최고의 의사로 칭송받는 슈바이처(1875~1965)는 “생명을 북돋워 주는 것은 선이고, 생명을 부수고 가로막는 것은 악”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의사, 신학자, 음악가, 사상가로 당대의 최고 천재였다. 다재다능한 그는 아프리카 사람들이 질병으로 혹독한 고통당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의사가 되어 이들을 위한 진료에 평생을 바쳤고 그 공로가 인정되어 1952년 노벨상을 받았다.​슈바이처는 노벨상을 탔을 때에도 그 상금을 모두 한센병 환자들을 위해 사용했다. 마흔이 다 된 슈바이처가 아프리카로 떠나겠다고 했을 때, 주변 사람들은 반대가 심했다. 편안하고 여유 있게 일생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이 모든 것을 버리고 난데없이 아프리.. 더보기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간음하다 붙잡혀 죽게 된 여성​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간음하다 붙잡혀 죽게 된 여성​렘브란트 구약시대에 여성은 남자의 재산목록 중 하나로 매매가 가능한 존재였다. 그래서 여성은 외부 세계와 완전히 격리되었고 철저히 아버지나 남편의 지배 아래에 있었다. 최근에도 이슬람 지역에서 여성이 몹쓸 짓을 당하고 집에 오면 가족 중 오빠나 사촌들에게 피해를 당한 여동생을 돌로 쳐죽이는 명예살인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가장(家長)의 명예를 지킨다는 명목으로 딸이나 아내, 친척 여성을 살해하는 범죄로 매년 5000여 명이 명예살인으로 목숨을 잃고 있고, 실제로는 그 이상이라 추정된다.​이러한 악습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항상 있었다. 결혼한 사람이 자신의 아내나 남편이 아닌 자와 성적 관계를 맺는 것은 십계명의 제6계명에서 금하는 것이다. 예.. 더보기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제1독서 이사 50,4-7 / 제2독서 필리 2,6-11 / 복음 루카 22,14-23,56예수님 수난기에 등장하는 제각각 다른 모습의 사람들 중나는 누구 모습인지 묵상하며의미있는 성주간 보내야각자의 머리에 재를 얹으며 시작한 사순 시기가 마무리되어 가는 오늘, 성주간의 첫째 날에 우리는 성지(聖枝) 축복과 행렬을 거행하며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념합니다. 또한 ‘주님의 수난기’를 들으며 성금요일에 이루어질 주님의 수난과 죽음을 미리 묵상하며 준비하게 됩니다.​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과 수난과 죽음의 십자가의 길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등장합니다.​최후 만찬 때에 누가 가장 높은 사람이냐를 두고 말다툼을 벌이고, 잠의 유혹을 물리치지 못한 채 예수님 홀로 수난의 길을 걷게 한 ‘제.. 더보기
<행운이 오는 방법> ​1.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은 좋은날' 하고 큰 소리로 외쳐라. 좋은 아침이 좋은 하루를 만든다.​2. 거울을 보며 활짝 웃어라. 거울 속의 사람도 나를 보고 웃는다.​3. 사촌이 땅을 사면 기뻐하라. 사촌이 잘 되어야 나도 잘 되게 마련이다.​4. 마음 밭에 사랑을 심어라. 그것이 자라나서 행운의 꽃이 핀다.​5. 밝은 얼굴을 하라. 얼굴 밝은 사람에게 밝은 운이 따라온다.​6. 힘들다고 고민하지 말라. 정상이 가까울수록 힘이 들게 마련이다.​7.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아라.​8. 사람을 존중하라.​9. 끊임없이 베풀어라. 샘물은 퍼낼수록 맑아지게 마련이다.​10. 안될 이유가 있으면 될 이유도 있다. 11. 밝고 힘찬 노래를 불러라. 그것이 성공 행진곡이다.​12. 푸른.. 더보기
<읽을수록 여운이 남는 글>. .​※깡통빈 깡통은 흔들어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속이 가득 찬 깡통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소리 나는 깡통은 속 에 무엇이 조금 들어 있는 깡통이다사람도 마찬가지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많이 아는 사람도 아무 말을하지 않는다. ​무엇을 조금 아는 사람이 항상 시끄럽게 말을 한다.​ ※거울때 낀 거울 닦고 나니 기분 좋네. ​한번 닦으니 자꾸 닦고 싶네.말갛던 거울, 때가 끼니 보기 싫네. ​한번 보기 싫으니 자꾸 보기 싫네.한번 마음먹는 것이 참 중요하네.한번 마음먹기에 따라 세상이 좋아지고 싫어지네. ​※거울과 반성이 세상에 거울이 없다면 모두 자기 얼굴이 잘났다고 생각하겠지.어떤 얼굴이 나보다 예쁘고 ​어떤 얼굴이 나보다 미운지 모르겠지.사람들의 삶에 반성이 없다면 ​모두 자기 삶이 바르다고 생각.. 더보기
사순 제5주간 목요일 사순 제5주간 목요일(요한 8, 51) ​사라지는 것을우리는지키지 않습니다.​사라지지 않을하느님의말씀을우리는 지키며삽니다.​하느님의 말씀이영원한 생명입니다.​살기 위해서는말씀이 필요합니다.​하느님의 뜻은우리의영원한생명입니다.​예수님께서는말씀이 되시어영원한 생명의길을 만드십니다.​지금 여기에서보게되는생명의 길입니다.​말씀이 사람이되시는 열정과사랑을 만납니다.​말씀을 닮은생명입니다.​말씀을 잃으면생명도 잃습니다.​우리는영원한 생명의이름을 얻었습니다.​영원한 생명의이름으로기도드립니다.​말씀에서만나는생명의기쁨입니다.​영원한 오늘을살게 하는지켜야 할말씀이있습니다.​죽음은영원한 삶의끝이 아니라말씀의 새로운시작입니다.​생명을 지켜주는영원한 말씀을믿습니다.​말씀과 함께살고말씀 안에서즐기고기뻐해야 할말씀의 날오늘입니다... 더보기
2025년 4월 10일 사순 제5주간 목요일 2025년 4월 10일 사순 제5주간 목요일(창세17.3-9.요한8.51-59) 굉장히 어렵고 복잡한 문제 하나를 내 보겠습니다. 잘 생각하고 대답하시길 바랍니다.​“한 아이가 책상 앞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책상 위에 튀어나와 있는 못을 발견합니다. 잘못하다가는 다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책상 위에 마침 못을 뽑을 수 있는 장도리가 놓여 있습니다. 그리고 이 아이 옆에는 친구가 앉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가장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까요?”​이런 질문을 받으면 많은 이가 대답하지 않습니다. 평소라면 그냥 장도리로 못을 뽑아 버릴 텐데, 굉장히 어렵고 복잡한 문제라는 말에 또 잘 생각하라는 말에 대답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사실 정답은 단순했습니다. 원래의 생각대로 장도리로 못.. 더보기
사순 제5주간 목요일 사순 제5주간 목요일(창세17.3-9.요한8.51-59) ​한 본당에 손님 사제로 미사를 드리러 갔을 때였습니다. 수녀님께서 제의방으로 조용히 들어오시더니, 한 가지 당부 말씀을 제게 해주셨습니다. 사연인즉슨 이랬습니다.​제대 위에 연미사 지향이 몇 개 올라가 있는데, 한분 이름이 좀 웃긴다고, 다른 신부님들도 이름 보고 웃음을 참지 못해 난감해하셨다고. 미리 마음 준비하시라고 말씀드린다고, 그러셨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돌아가신 분 이름을 보니, 저절로 웃음이 터져 나왔습니다. 물론 미사 때는 있는 힘을 다해 꾹 참았습니다.​과거에는 한번 정한 이름을 바꾸기가 정말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좀 웃기거나 어색한 이름, 놀림감이 되는 이름이라 할지라도 꾹 참고 계속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세상이 좋아져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