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서 왜 절해유? 썸네일형 리스트형 < 우리의 시간은 존재하기 위해 > 우리는 존재보다 행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시간을 낭비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무엇보다 우리의 시간은 존재하기 위해 있습니다. 무엇을 위해 우리의 시간이 존재할까요? 삶을 위해, 평화를 위해, 기쁨을 위해, 사랑을 위해, 이는 우리 세계가 가장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것들입니다. - 틱낫한의 포옹에서.. 더보기 < 삶의 축 > 세상의 중심에 서 있는 사람은 바로 자신이다 내가 어떤 경우이든 삶의 축이 되어야 한다. 마음의 중심에 곧게 축을 세우고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지를 깊게 박아야 한다 사람들은 대개 세상의 외곽에 자신을 둔다 내가 축이 되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축을 따라서 움직인다. 자신의 의지가 아니라 남의 의지에 따라서 자신의 시각이 아니라 남의 시각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다 옷을 사러간 남편은 결국 자기가 입고 싶은 옷이 아니라 아내의 시각으로 옷을 사서 입게 된다. 단편적인 예이다 옷뿐만 아니라 음식이나 놀이, 여행 등등 어떤 결정의 순간에도 다르지 않다 삶의 축을 누구한테 두느냐가 중요한 법이다 자신의 삶을 철저히 살려면 당연히 내가 삶의 축이.. 더보기 < 종자의 생명 > 저절로 떨어진 씨가 겨울에는 땅속에서 얼어 죽기도 하고 봄이 되면 자생하여 활력 있게 돋아난다 씨에는 생명이 있고 땅에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하늘의 무한한 능력이 마른 땅에 비를 내려 수분을 공급한다 태양의 온기를 땅에 묻힌 씨앗의 눈을 뜨게 한다 인간이 자식을 낳아 번성하듯 식물 또한 종자를 낳아 번성한다 뿌리를 땅속에 묻고 햇빛과 이슬을 머금어 꽃을 피워 올린다 식물은 이동할 수가 없는 운명 동물처럼 이동하면 하나 둘을 낳겠지만 그럴 수 없으니 수천의 종자를 날려 보낸다 그 날려 보낸 씨앗이 생명의 여행을 하는 것이다 - 이설산 스님 더보기 인간에 대한 사랑을 기르자(2) 인간에 대한 사랑을 기르자(2) 물론 사람들은 종교 없이도 잘산다. 그러나 자비심, 사랑, 용서 같은 것은 사치품이 아니다. 오히려 생존에 가장 근원적인 것이다. 내가 자비심과 사랑이 중요하다고 말할 때마다 사람들은 묻곤 한다. 어떻게 하면 그런 마음을 키울 수 있겠느냐고. 물론 쉬운 일이 아니다. 사랑, 자비심 같은 것을 즉석에서 키울 수 있는 비법은 없다. 자판기나 컴퓨터처럼 단추 하나만 누르고 기다리면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달라이라마라면 그런 일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는 걸 알고 있다. 그러나 나는 단지 내가 겪은 경험을 얘기할 수 있을 뿐이고 그 속에서 옥석을 가리는 것은 여러분의 몫이다. 물론 내 경험에 아무런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괘념치 말기 바란다.. 더보기 인간에 대한 사랑을 기르자(1) 인간에 대한 사랑을 기르자(1) 행복의 근원은 좋은 심성, 자비, 사랑이다. 이 세 가지를 갖추고 있다면 우리를 해하려는 사람들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하더라도 마음이 평온할 것이다. 반면 자비심이 부족하고 마음이 분노와 증오로 들끓는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평화는 없을 것이다. 불안해 하다가, 종국에는 만사가 두려워지며 자신감도 잃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아주 사소한 것에도 내면의 평화를 잃게 된다. 그러나 마음이 평온하다면 아무리 어려운 문제가 닥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인간의 지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음을 평온하게 해야 한다. 분노로 마음이 흔들리면 지성을 제대로 쓰기 어렵다. 부정적인 생각을 많이 하다 보면 인간의 지성이 마비된다. 지난 수천년 동안의 인간의 .. 더보기 모든 괴로움과 얽매임은 다 내 마음이 일으킨다. 모든 괴로움과 얽매임은 다 내 마음이 일으킨다. 모든 괴로움과 얽매임은 잘 살펴보면 다 내 마음이 일으킨다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 괴로움과 얽매임이 밖으로부터 오는 줄 착각하고 이 종교 저 종교 이 절 저 절 이 사람 저 사람 찾아다니며 행복과 자유를 구하지만 끝내 얻지 못한다 그것은 안심입명의 도는 밖으로 찾아서는 결코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언제 어디서나 일어난 어떤 괴로움일 지라도 안으로 살펴보면 그 모든 괴로움의 뿌리가 다 마음 가운데 있고 그 마음의 실체가 본래 공한 줄 알 모든 괴로움은 저절로 사라진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자신이 일으킨 한 생각에 사로잡혀 옳다 그르다 모양짓고 그 모양에 집착해서 온갖 괴로움을 스스로 만든다 한 생각을 돌이켜서 이 사로잡힘에서 벗어나면 .. 더보기 여백(餘白) 여백(餘白) 화선지 위에 글씨를 쓸 때 나는 여백을 중시한다 글씨로 가득 채우면 숨 쉬는 것조차 힘이 든다 삶을 깨우는 선현들의 화두를 붙들어도 여백이 없으면 마음이 열리지 않는다 글씨를 쓰면서 얻는 것은 깨달음의 즐거움이다 맑은 찻잔에 솔잎을 얹으면 마음의 여백이 생기는 것을 느낀다 비단 글을 쓸 때 뿐만 아니라 삶의 공간 요처마다 여백을 둘 수 있어야 한다 여백은 숨 쉴 공간이다 아무리 값나가는 골동품도 창고를 가득 메우면 가치가 떨어지게 마련이다 가락을 타는 악기는 빈 공간과 뚫린 구멍 탓에 청아한 기능을 하고 있다 여백이 주는 축복이다 무엇이든 가득 채우고 무엇이든 가지려고만 하는 사람들은 모르긴 해도 여백의 기쁨을 누리지 못할 것이다 여백이야말로 삶의 양식이라는 것을.. 더보기 < 깨달음 > 병아리 세상 구경이다. 벽지 촌놈의 서울 나들이다. 칠순 노인의 인터넷 채팅이다. 모든 것은 영원하지 못하다無常. 모든 것은 괴로움이다苦. 모든 존재는 실체가 없다無我. 그리고 번뇌가 제거된 세계는 평온하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이다. 새로운 세상이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緣起. 집착은 어리석은 행동이다中道. 인간의 마음은 본래 깨끗하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淸淨心. 깨달음, 그것은 수많은 불교 수행자들이 목숨을 걸고 탐구하는 영원한 테마다. 깨달음 깨달음이라는 주제는 여러 종교 중에서도 불교에만 있는 특별한 테마다. 첫째, 모든 것은 괴로움이고 무상이며 실체가 없다 고(苦), 무상(無常), 무아(無我). 그리고 번뇌가 소멸된 세계는 평온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 더보기 이전 1 ··· 23 24 25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