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김수환 추기경 썸네일형 리스트형 <죄인의 벗> 교회는 참으로 죄의 용서와 회개 및 화해를 위해서 진정 복음의 그리스도의 모습을 닮아야 합니다. 복음의 그리스도는 죄인들을 단죄하지 않으셨습니다.그분은 오직 스스로 의롭다고 자처한 바리사이들만을 단죄하셨습니다. 죄인들에 대해서는 가난한 사람들,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와 같이 언제나 자비와 사랑으로 대하셨습니다.간음한 여인, 배반한 사도 바오로에게 대한 예수님의 태도와 탕자의 비유, 잃은 양의 비유 등, 여러 비유가 죄인들에 대한 예수님의 마음 자세를 잘 말하고 있습니다. 뿐더러 예수님은 온 인류의 죄를 지고 가셨고, 그 죄 때문에 십자가에 죽기까지 하셨습니다.우리는 예수님처럼 이 시대의 죄를 지고 갈 줄 알아야 합니다. 죄 없으신 예수님도 죄인들의 벗이 되었으니 우리는 더욱 죄인으로서 죄인들과 형제.. 더보기 <하느님의 사랑> 우리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분이신가?우리가 믿는 그리스도는 어떤 분이신가?우리는 가끔 이런 생각을 할 수가 있습니다.우리는 대체로 무서운 하느님,우리의 잘못을 벌하시는 하느님,또는 우리의 사정을 몰라주시는 무정한 하느님,또는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시지 않는 침묵의 神,이런 생각을 하기 쉽습니다.정녕 하느님이 그런 분이라면 그는 무정하고 냉혹한 독재자요, 나의 부모보다는 물론 못하고 친한 친구보다도 못한 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구태여 이런 하느님을 믿고 살 필요는 없습니다.만일 믿는다면 그것은 혹시 그의 눈 밖에 나서 벌을 받고 지옥에 떨어지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에 믿는 척하는 것일 겁니다. 우리에게는 어떤 의미로 이런 하느님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하느님은 성경 전체가 말.. 더보기 <교회의 존재 이유> 우리는 과연 세상을 변화시키는 누룩입니까?우리는 과연 세상의 부패를 막는 소금입니까?우리는 과연 이 사회와 오늘날 인간의 어두운 마음을 밝히는 빛입니까?우리는 참으로 예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사랑으로 서로 사랑하는 형제자매들입니까?그리스도의 교회인, 교회가 이렇게 엄연히 있는데 사회는 여전히 썩을 대로 썩고 어두울 대로 어두워져 가고 있다면… 우리는 참으로 무엇입니까? 교회는 무엇이며 신자는 무엇입니까? 성당은 왜 있습니까?심각히 물어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더욱이 우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보다도 세상이, 세속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면, 그리하여 우리도 믿지 않는 사람들이나 똑같이 물질주의, 황금만능주의에 사로잡히고 이기주의와 향락으로 타락해 있다면 우리는 도대체 무엇인지 자문해 보.. 더보기 < 강 > 강은 과거에 이어져 있으면서 과거에 사로잡히지 않는다. 강은 오늘을 살면서 미래를 산다. 강은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가장 낮은 자리를 찾는다. 강은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면서 무상 속의 영원을 보여준다. - 김수환 추기경 애송시 구상의 시 - 강을 통하여 참으로 우리 모두가 짓고 있는 거짓과 허영 등 모든 종류의 죄에서 벗어나 맑고 밝은 새 삶을 찾게 되기를 빕니다. - 김수환 추기경 잠언집에서 더보기 <가장 위대한 사람> 예수님은 제자들로부터 "누가 하늘나라에서 가장 위대합니까?"라는 질문을 받으셨습니다. 예수님은 이 질문에, 위대함에 앞서서 누구든지 하늘 나라에 들어가려면 어린이와 같이 되어야 한다고 하셨고, 그 다음으로는 어린이같이 자신을 낮추는 사람이 하늘나라에서 가장 위대하다고 하셨습니다. 또 그 다음으로는 그런 어린이 하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곧 당신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라고 하셨습니다. 어린이는 어른에 비하여 우선 힘이 약합니다. 어른과 힘에 있어서나 무슨 일을 하는 데 있어서나 상대가 안됩니다. 어린이는 약할 뿐 아니라, 혼자 살 수 없습니다. 어린이의 특징은 누구에게든 의지하고 살아야 합니다. 이렇게 볼 때, 예수님이 여기서 뜻하시는 것은 제자를 보고 육체적으로 어린이와 같이 작아져야 한다는 뜻이 .. 더보기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것> 아침이면 태양을 볼 수 있고 저녁이면 별을 볼 수 있는 나는 행복합니다. 잠이 들면 다음날 아침 깨어날 수 있는 나는 행복합니다. 꽃이랑, 보고 싶은 사람을 볼 수 있는 눈. 아기의 옹알거림과 자연의 모든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 사랑한다는 말을 할 수 있는 입. 기쁨과 슬픔과 사랑을 느낄 수 있고 남의 아픔을 같이 아파해줄 수 있는 가슴을 가진 나는 행복합니다. - 김수환 추기경님의 중에서- 더보기 <광야의 유혹> 세상에는 믿음을 거스르는 유혹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 유혹은 빵, 즉 먹고 사는 것과 허영과 권세에 대한 유혹입니다. 이것들은 모든 인간이 매일같이 겪는 유혹입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굶주림을 채우려는 생리적 욕구와 사회적 인정을 받고 싶은 욕구, 출세와 권세 욕구, 남 위에 서서 남을 지배하고 싶은 지배 욕구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욕구를 채우는 데에서 인간은 살맛이 나고, 자기실현을 할 수 있으며, 그것이 인생의 성장이고 곧 목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얼핏 보면 그럴듯하지만 사실은 의식 무의식 중에 다 거기 빠져서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으로 우리를 자기중심적인 인간, 이기주의적인 인간이 되게 하는 것입니다. 모두가 내 욕구를 채우고 싶은 그런 이기주의입니다. 그리고.. 더보기 < 작은 마음 > 작은 마음은 예수님의 마음이지요.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작은 마음을 지니고 사는 어린이들은 꽃 한 송이를 보아도 그 꽃을 지으신 하느님을 생각하며 기도합니다. 하느님은 이런 마음을 가진 어린이들을 기쁨으로 가득 채워 주십니다. 모두를 사랑하고 언제나 감사하여 기도하는 어린이들은 세상을 아름답게 수놓은 예쁜 꽃들입니다. 여러분 모두가 예수님의 마음을 더욱 닮아 세상을 곱게곱게 물들이셔요. - 김수환 추기경 에서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