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며 목 축일 샘-法頂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비심으로 인해 보리심을> 세월에 어떤 금이나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시간관념으로 묵은해가 저물고 새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나온 한 해는 우리 모두에게 어려운 시절이었습니다. 경제적인 어려움만이 아니라 삶 자체가 크게 흔들려, 우리 사회 곳곳에서 끔찍한 일들이 잇따라 일어났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고난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 그런 한 해이기도 했습니다. 세상이 어렵게 돌아가다 보니 맑고 향기롭게 모임에서도 예상 밖의 일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서울 모임에서는 날마다 2백 명에 가까운 노숙자들에게 점심을 나누어주는 일에 매달렸습니다 이 일에는 보문 선원과 그곳 불자들의 헌신적인 자원봉사활동이 밑받침이 되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무료급식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후원해 주신 분들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 더보기 <산에서 살아 보면> 산에서 살아 보면 누구나 아는 일이지만, 겨울철이면 나무들이 많이 꺾이고 만다. 모진 비바람에도 끄떡 않던 아름드리나무들이, 꿋꿋하게 고집스럽기만 하던 그 소나무들이 눈이 내려 덮이면 꺾이게 된다. 깊은 밤 이 골짝 저 골짝에서 나무들이 꺾이는 메아리가 울려올 때 우리들은 잠을 이룰 수가 없다. 진정한 나무들이 부드러운 것에 넘어지는 그 의미 때문일까. 산은 한겨울이 지나면 앓고 난 얼굴처럼 수척하다. -법정 스님 수상집 중에서… 더보기 < 자기다운 삶을 살려면 > 사람은 저마다 자기 몫이 있습니다. 남의 것을 가로채거나 남의 자리를 흉내 낼 수 없습니다. 그렇게 하면 자기 삶이 소멸합니다. 자기다운 삶을 살려면 먼저 자기에게 주어진 몫을 확실하게 알아야 합니다. 공덕이라는 것은 물질적인 베풂만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말 한마디, 눈빛 하나도 공덕이 되어야 합니다. 물질이 없어도 맑은 눈빛, 다정한 얼굴, 부드러운 말을 나눌 수 있습니다. 사람은 원을 세우고 살아야 합니다. 원(願)은 삶의 지표(指標)와 같은 것입니다. 원이 강한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딛고 일어설 수가 있습니다. 원의 힘이 약하면 작은 바람에도 휩쓸려 넘어갑니다. 원은 개인적이지 않습니다. 공동체적이며 이웃과 함께 누립니다. 그래서.. 더보기 < 깨어 있고자 하는 사람은 >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그때그때 삶의 매듭들이 지어진다. 그런 매듭을 통해서 안으로 여물어 간다. 흔히 이 육신이 내 몸인 줄 알고 지내는 데 병이 들어 앓게 되면 내 몸이 내가 아님을 인식하게 된다. 내 몸이지만 뜻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병을 치료하면서 속으로 염원했다. 이 병고를 거치면서 보다 너그럽고, 따뜻하고, 친절하고, 이해심 많고, 자비로운 사람이 되고자 했다. 묵묵히 서 있는 겨울 나무들을 바라보고 더러는 거칠거칠한 줄기들을 쓰다듬으며 내 속에 고인 말들을 전한다. 겨울 나무들에게 두런두런 말을 걸고 있으면 가슴이 따뜻하게 차오른다. 삶의 비참함은 죽는다는 사실보다 살아 있는 동안 내부에서 무언가가 죽어 간다는 사실에 .. 더보기 < 법정스님의 좋은 글 모음 > 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뜻이다. - 무소유 - 나 자신의 인간 가치를 결정짓는 것은 내가 얼마나 높은 사회적 지위나 명예 또는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나 자신의 영혼과 얼마나 일치되어 있는가이다. - 홀로 사는 즐거움 -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 때일 뿐, 그러나 그 한 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 아름다움이다. - 버리고 떠나기 - 내 소망은 단순하게 .. 더보기 < 녹슬지 않는 삶 > 사람은 책을 읽어야 생각이 깊어진다. 좋은 책을 읽고 있으면 내 영혼에 불이 켜진다. 읽는 책을 통해서 사람이 달라진다. 독서는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탐구의 지름길이다. 그 누구를 가릴 것 없이, 배우고 찾는 일을 멈추면 머리가 굳어진다. 머리가 굳어지면 삶에 생기와 탄력을 잃는다. 생기와 탄력이 소멸되면 노쇠와 죽음으로 이어진다. 조선 영조 때 사람, 유중림이 지은 중 '독서 권장하기'에 이런 글이 실려 있다. "글이란 읽으면 읽을수록 사리를 판단하는 눈이 밝아진다. 그리고 어리석은 사람도 총명해진다. 흔히 독서를 부귀나 공명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독서의 진정한 즐거움을 모르는 속된 무리다." 송나라 때의 학자 황산.. 더보기 용서는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 용서는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 용서란 타인에게 베푸는 자비심이라기보다, 흐트러지려는 나를 나 자신이 거두어들이는 일이 아닐까 싶었다. - 법정 에서 더보기 < 산다는 것은? > 산다는 것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창조하는 일 그 누구도 아닌 자신이 자신에게 자신을 만들어 준다. 이 창조의 노력이 멎을 때 나무건 사람이건 늙음과 죽음과 질병이 온다. 겉으로 보기에 나무들은 표정을 잃은 채 덤덤히 서있는 것 같지만 안으론 잠시도 창조의 일손을 멈추지 않는다. 땅의 은밀한 말씀에 귀 기울이면서 새 봄의 싹을 마련하고 시절 인연이 오면 안으로 다스리던 생명력을 대지 위에 활짝 펼쳐 보일 것이다. - 법정 스님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