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서 왜 절해유? 썸네일형 리스트형 ◆ 선시禪詩 모음 ◆ ◆ 선시禪詩 모음 ◆ 山氣鐵寒風滿壑 (산기철한풍만학)산기운 쇠같이 차가운데바람 봉우리마다 가득하구나● 冶父道川 (야부도천)得樹攀枝未足奇 (득수반지미족기) 나뭇가지 잡음은 족히 기이한 일이 아니니懸崖撒手丈夫兒 (현애철수장부아) 벼랑에서 손을 놓아야 비로소 장부로다.水寒夜冷魚難覓 (수한야냉어난멱) 물은 차고 밤도 싸늘하여 고기 찾기 어려우니留得空船載月歸 (유득공선재월귀) 빈배에 달빛만 가득 싣고 돌아 오도다.● 豫章宗鏡 (예장종경)雲卷秋空月印潭 (운권추공월인담) 구름 걷힌 가을하늘의 달이 못에 비치니寒光無際與誰談 (한광무제여수담) 찬 빛의 끝없음을 누구와 더불어 얘기할거나.豁開透地通天眼 (활개투지통천안) 천지를 꿰뚫는 안목을 활짝 여니大道分明不用參 (대도분명부용참) 대도가 분명하여.. 더보기 <동자승의 법칙> 저기 저 태양은 뭘까?우리 엄마 웃는 얼굴이다.그럼, 저 달은 뭘까?두고 온 옆집 순이 엉덩짝이다저기 저 소나무는 뭘까?땅속에 발 빠진 나무귀신절간의 풍경소리는 그럼 뭘까?노스님 참선하다 하품하는 소리다그럼, 나란 인간은 대체 뭘까?평생 부처님 속만 태울 인간, 하하하…나이를 먹을 수록옛날 옛적 일들이 그리워진다백날을 짊어지고도 풀지 못한 화두놀음한순간에 쑥, 쑥, 내뱉을 수 있었다니요즘엔 생각이 많아 도대체답이 열리지 않는다단순하게 살아야마음의 문이 열린다- 이설산 스님 더보기 <마음을 쉬어 보세요.> 어느 날. 한 보살이 찾아와 묻기를 저는 그동안 세상을 살아가면서별로 죄지은 일도 없이 열심히 살아온다고 왔는데 일 년 열두 달 365일.단 하루도 빼지 않고 편한 날이 없어자고 일어나면 근심 걱정과 속상한 일 뿐이오니대체 어이된 까닭입니까? 하였습니다. 그래서 답하기를 사람마다 근심 걱정과 속상한 일들이 그치지 않는 것은 그 첫째가 욕심 때문이니라. 더 많은 재산, 더 커다란 집, 더 넓은 방, 더 높은 벼슬, 더 맛있는 음식, 더 좋은 의복 등을 끝없이 욕심내어 놨으니 그 욕심이 채워지지 않으면 속이 상하고 근심 걱정이 그치지 아니할 것은 자명한 일이 아니겠는가? 또 그 두 번째 까닭은 성냄에 있으니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다 하여 화를 내고 성질을 내고 자기 말을 듣지 않는다 하여 미워하.. 더보기 < 삶 > 외로우면 외로운대로 좋다 슬프면 슬픈대로 좋고 아프면 아픈 대로 그리우면 그리운대로 좋다 삶은 저지른 이의 가슴이기에...... - 석용산 스님 더보기 이 보게나 여보시게 이 글 좀 보고 가소 이 보게나 여보시게 이 글 좀 보고 가소 여보시오..... 돈 있다 유세하지 말고 공부 많이 했다고 잘난 척 하지 말고 건강하다 자랑하지 말고. 명예 있다 거만하지 말고 잘났다 빛내지 마소. 다 소용 없더이다. 나이 들고 병들며 자리에 누우니 잘난 사람 못난 사람 너 나 할 것 없이 남의 손 빌려서 하루를 살더이다. 그래도 살아 있기에 남의 손으로 끼니이어야 하고 똥오줌 남의 손에 맡겨야 하니 그 시절 담당하던 그 모습 그 기세가 허무하고 허망하기만 하더이다. 내 형제 내 식구 최고라며 남 업신여기지 마소. 내 형제 내 식구가 마다하는 일 피 한 방울 섞이지 않는 그 남이 눈 뜨고, 코 막지 않고도 따뜻한 마음으로 미소 지으며 잘도 하더이다. 말하기 쉽다 입으로 돈 앞세워 마침표는 찍지 마소 .. 더보기 행자의 노후, 보림장은 어디인가? 행자의 노후, 보림장은 어디인가?얼마전 필자는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나보다 조금 더 연배인 도반이 “스님 내가 갈 곳이 없어”라는 것이다. 작은 토굴의 주지 소임을 놓고 포교현장에서 물러나고 싶은데 물러날 곳이 없다는 것이다. 대중처소에 가고 싶은데 나이가 많아 대중에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암 수술을 한 도반은 작은 사가를 마련하고 투병 중이다. 대중처소도 젊은 수행자들을 선호하고 돌봄이 필요한 나이들고 병든 수행자들의 입방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구니 스님들은 오래전부터 공동체를 이루어 수행하는 도량이 여러 곳이 있다. 대부분 염불과 참선수행을 하고 가끔은 텃밭 울력도 할수 있는 수행공동체이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수행공동체 또한 급속이 고령화되어 노노케어가 임계점에 .. 더보기 <가을 단상> 가을은 먼 산에서 저 혼자 뽐내다 첫눈 내리는 날 홀연히 자취를 감추는 무책임한 계절인 줄로만 알았다. 그 짧은 시간 동안의 빛남을 안타까워했기 때문일까. 가을에는 유난히 이곳저곳 산사를 찾았던 까마득한 기억들이 새롭다. 부드러운 가을 햇살이 오늘따라 더욱 살갑게 내 얼굴을 어루만지고 지나간다. 순간 추억 속의 가을날들이 아프도록 그리워졌다. 무엇 하나 나이가 들었다는 증거 아닌 것이 없다.멀리 있는 가을은 남의 가을이지 내 가을은 아니다. 다행히 서울 도심 속 곳곳에도 가을이 한창이다. 산에서 내려온 가을이 시내 여기저기를 울긋불긋하게 장식하고, 길가의 가로수들도 저마다 자기만의 빛깔로 지금이 만추(晩秋)임을 일깨워준다. 누구나 편지를 쓰고 싶고, 아무나 시인이 되는 가을이 한층 무르익었다. 듣는.. 더보기 트리플 명상 트리플 명상기자명월호스님 webmaster@ibulgyo.com월호스님│논설위원·행불선원장첫째, 호흡 명상은 부처님께서 아들 라훌라에게 가르쳐 주신 명상법이다. “라훌라여! 들숨과 날숨에 대한 마음 챙김을 닦아라. 라훌라여! 들숨과 날숨에 대한 마음 챙김을 닦고 거듭 행하면, 실로 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다. 라훌라여! 들이쉬면서는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내쉬면서는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이를 통해 목숨이 한 호흡 간에 있음을 알아차리면, 무상(無常)을 느끼게 된다. 무상을 뼈저리게 느끼는 것이 진정한 출가다.둘째, 아바타 명상은 아바타로 바라보고 셀프감옥에서 탈출하는 것이다. 에서는 말한다. “모든 존재는 꿈·아바타(幻)·물거품·그림자·이슬·번갯불과 같다. 이와 같이 관찰하라.” 몸과 마.. 더보기 이전 1 2 3 4 5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