信仰人의 삶 썸네일형 리스트형 <하느님의 바보들이여> 어떤 일이 있어도 늙어서는 안 됩니다. 언제까지라도 젊어야 합니다. 싱싱하게 젊으면서도 깊어야 합니다. 바다만큼 되기야 어찌 바라겠습니까마는 두세 키 정도 우물은 되어야 합니다. 어찌 사람뿐이겠습니까. 마소의 타는 목까지 축여주는 시원한 물이 흥건히 솟아나는 우물은 되어야 합니다. 높은 하늘이야 쳐다보면서 마음은 넓은 벌판이어야 합니다. 탁 트인 지평선으로 가슴 열리는 벌판은 못 돼도 널찍한 뜨락쯤은 되어야 합니다. 오가는 길손들 지친 몸 쉬어 갈 나무 그늘이라도 있어야 합니다. 덥썩 잡아주는 손과 손의 따뜻한 온기야 하느님의 뛰는 가슴이지요. 물을 떠다 발을 씻어주는 마음이야 하느님의 눈물이지요. 냉수 한 그릇에 오가는 인정이야 살맛 없는 세상 맛내는 양념이지요. 이.. 더보기 < 마음을 털어놓을 때 > 우리가 홀로 삶의 무거운 짐을 지고 걸을 때, 주님께서는 우리의 무거운 짐을, 고통의 멍에를 함께 지시길 원하십니다. 지금, 해결되어지지 않는 삶의 고통과 죄의 문제를 주님 앞에 내려놓으십시오.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될 것입니다. *하느님이 고치신다 혹시 마음속에 오랫동안 담아 둔 쓴 뿌리가 있다면 지금 주님께 고침받기를 간구해야 합니다. 상처는 덮어둠으로 치유 받는 것이 아니라 상처를 드러내고 치료해야 낫습니다. 그 어떤 누구에게도 드러낼 수 없는 마음의 상처와 상실감, 나조차 용서할 수 없는 죄로 인한 억눌림. 주님은 "네가 낫기를 원하느냐"고 물으십니다. 우리는 주님의 손을 잡아야 합니다. 우리의 깊은 상처가 회복될 때 우리의 영과 육은 .. 더보기 ‘성인의 영혼이 깃든’ 동화작가 정채봉[백형찬의 가톨릭 예술가 이야기] (2 ‘성인의 영혼이 깃든’ 동화작가 정채봉 [백형찬의 가톨릭 예술가 이야기] (27) 정채봉 프란치스코 (상) ‘한국의 안데르센’이라 불리는 정채봉 작가는 김수환 추기경의 어린 시절을 담은 글을 신문에 연재했으며, 일찍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담‘성인의 영혼이 깃든’ 동화작가 정채봉 은 글을 쓰기도 했다. “그이와 난 닮은 점이 참 많다. 어려서 엄마와 아버지를 잃은 것이 같고 글을 써서 평생을 살았다는 것이 또한 같다. 그러나 이 모든 것보다 사랑스런 딸이 있어 행복했다는 것이 똑같은 축복일 것이다. 그 역시 나처럼 좋은 점이 있다면 엄마한테 받은 것이요, 많은 결점은 엄마를 일찍이 잃어버려 그의 사랑 속에서 자라나지 못한 때문일 것이다.”(피천득) “그날 병실을 나오면서 나는 그를.. 더보기 < 깨달음 > 정말로 빨리 깨달으려고 하면 남을 위한 기도를 많이 하십시오. 순수한 마음으로... 무엇을 원해서가 아니라 당신의 가슴에서 그렇게 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하는 그런 기도를 자신을 위해서보다 남을 위해서 더 많이 하십시오. 모두를 위해서 기도하는 마음이 神의 마음입니다. 당신이 그렇게 될 때 당신도 모르게 神이 당신의 가슴 안에 있는 것입니다. 깨달음이 스스로 일어나는 것은 그때입니다. 바로 그때 당신을 버릴 때 당신이 神의 마음이 되어 있을 때 그 神의 깨달음이 당신 안에서 일어납니다. - 창조주의 메시지 중에서.. 더보기 < 모든 것 > 모든 것을 맛보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맛에도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모든 것을 알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지식에도 매이지 않아야 한다. 모든 것을 소유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것도 소유하지 않아야 하며, 모든 것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것도 되지 않아야 한다. 자신이 아직 맛보지 않은 어떤 것을 찾으려면 자신이 알지 못하는 곳으로 가야 하고, 소유하지 못한 것을 소유하려면 자신이 소유하지 않은 곳으로 가야 한다. 모든 것에서 모든 것에게로 가려면 모든 것을 떠나 모든 것에게로 가야 한다. 모든 것을 가지려면 어떤 것도 필요로 함이 없이 그것을 가져야 한다. - 십자가의 성 요한 더보기 신령성체& 영성체 뭐가 다를까? 더보기 1. 박완서의 "한 말씀만 하소서" 어떤 작품일까요? 1. 박완서의 "한 말씀만 하소서" 어떤 작품일까요? 박완서(朴完瑞)는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한국 현대 문학의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입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한 말씀만 하소서"입니다. "한 말씀만 하소서"는 박완서의 소설이 아니라 실제로 그녀의 아들이 죽은 사건을 다룬 자서전, 일기에 가까운 글입니다. 이 작품은 박완서의 아들이 세상을 떠난 비극적인 사건과 그로 인한 아픔과 슬픔을 다루고 있습니다. "한 말씀만 하소서"는 박완서가 아들의 사망과 그로 인한 아픔을 직접 경험하고 기록한 작품으로, 그녀의 솔직하고 깊은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자서전은 그녀가 아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수용, 회복의 과정을 다루며, 그로 인해 변화된 삶과 그녀 자신의 내면을 살펴보는 기록이기도 합니다. 따라.. 더보기 <언제나 주님의 평화를> 우리에게 평화 주시는 예수님 언제나 우리를 가까이 하시려 애 쓰시는 주님 그러나 우리는 그분의 마음을 얼마나 헤아릴 수 있을까 우리는 곧 잘 주시는 은혜만 청한다 우리는 우리 자신도 모르게 그분은 평화로써 우리에게 다가 오신다 주님은 묵묵히 감실 안에서 그깝깝한 감실 안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계신다 단 5분이라도 그분과 함께 그분과 대화를 나누어 보았는지 그분은 그렇게 애타게 우리를 기다리고 계신다 텅빈 성당에서 그분은 오늘도 쓸쓸히 계심을... - 권 마태오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2 다음